본문 바로가기
사회이슈

다국적 기업들의 ‘절세 꼼수’… 국내 기업만 세금 폭탄 맞는다?

by hoayeu 2025. 2. 20.
반응형

 

이해를 돕기위한 이미지입니다.그런데도 이해가 안되네..?.

 

 

🔍 핵심 내용 요약

  1. 법인세 회피 급증
    • 2023년 기준, 국내에서 매출 5조 원 이상을 기록한 외국 기업 35곳 중 **12곳(34.3%)**이 법인세를 한 푼도 내지 않음.
    • 이는 5년 전 대비 6배 증가한 수치.
    • 반면, 국내 기업은 147곳 중 27곳(18.4%)만 법인세를 내지 않아 상대적으로 차이가 큼.
  2. 조세 피난처 활용
    • 다국적 기업들은 법적 허점을 이용해 수익을 해외 본사나 조세 피난처로 이전하여 과세 표준을 낮추는 방식으로 법인세 회피.
  3. 부가세 부담도 낮음
    • 구글, 넷플릭스, 메타 등 글로벌 IT 기업들의 부가세 납부액이 국내 기업의 15% 수준에 불과.
    • 2023년, 매출 30억 원 이상의 국외 IT 기업 11곳이 납부한 부가세 총액이 5261억 원이었지만, 네이버 한 곳의 부가세가 최대 3000억 원으로 추정됨.
  4. 매출 축소 신고 문제
    • 구글코리아의 실제 매출은 공시 매출보다 33.1배(약 12조 원) 많을 것으로 추정.
    • 넷플릭스코리아(2.5배), 페이스북코리아(18.3배)도 축소 신고 의혹이 있음.
  5. 대책 필요
    • 매출 산정 방식을 개선해 트래픽, 결제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과세하는 방안 마련.
    • OECD 차원에서 다국적 기업이 실제 수익을 창출하는 국가에서 세금을 내도록 하는 ‘디지털세(Digital Tax)’ 도입 필요.
    • 국내 기업과의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세제 감면 등 지원책 강화 및 외국 기업에 대한 규제 필요.

⚖️ 문제점과 논란

형평성 문제

  • 국내 기업들은 높은 법인세(24%)를 내야 하는데, 외국 기업들은 조세 회피 전략을 활용해 법인세 부담을 회피.
  • 특히, 글로벌 IT 기업들은 매출 대비 극히 적은 세금을 납부하며 시장을 지배하고 있음.

정부의 대응 부족

  • 다국적 기업들의 조세 회피 전략은 오랫동안 문제가 되어 왔으나, 아직도 효과적인 규제가 마련되지 않음.
  • OECD 차원의 디지털세 논의가 지연되면서 국가별 대응이 어려운 상황.

법적 허점 악용

  • 글로벌 IT 기업들은 한국 지사를 단순한 ‘마케팅’ 또는 ‘지원’ 법인으로 등록하여 본격적인 수익 활동은 해외 본사가 담당하는 것으로 처리, 법인세 회피.
  • 국내 법률이 이를 효과적으로 제재하지 못하고 있음.

🏛️ 가능한 해결책

🔹 디지털세 도입 가속화

  • OECD 차원의 다국적 기업 과세 개혁 추진.
  • 각국에서 실제 수익이 발생한 비율에 따라 법인세를 부담하도록 법 개정.

🔹 매출 산정 방식 개선

  • 현재의 ‘신고 매출’ 대신 서비스 이용량, 트래픽, 결제 내역 등을 기반으로 매출 추정 후 과세.

🔹 국내 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 확대

  • 외국 기업들이 조세 회피로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만큼, 국내 기업에도 세제 감면 혜택 부여.

🔹 조세 피난처 활용 감시 강화

  • 다국적 기업들이 법인세율이 낮은 국가로 수익을 이전하는 행위 차단을 위한 글로벌 공조 필요.

🔥 결론

이 문제는 단순한 기업의 탈세가 아니라,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 간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과도 연결됩니다. 정부와 국회가 강력한 법 개정을 추진하지 않는다면, 결국 국내 기업들만 과도한 세금 부담을 지게 되는 구조가 지속될 수밖에 없습니다. 🏛️📢

반응형